BOJ 금리 인상 멈추나?...시장선 이미 "올해는 없을 것"
컨텐츠 정보
- 191 조회
- 22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 금융시장에서 일본은행(BOJ)이 금리 인상을 멈출 것이란 시나리오가 힘을 얻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이 일본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이 예상보다 클 수 있다는 경계감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BOJ는 금리 인상 계속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시장에서는 올해 안에는 금리 인상이 없을 것이란 시나리오를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18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오버나이트인덱스스왑(OIS) 시장에서는 BOJ가 올해 안에 금리를 추가 인상할 확률을 50%가 조금 넘는 약 53%로 반영하고 있다.
3월 말까지만 해도 인상 확률이 100%에 가까웠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금리 인상 전망에 대한 기대는 눈에 띄게 꺾였다.
노무라증권은 16일자 보고서에서 다음 금리 인상 시기를 올해 7월에서 내년 1월로 연기하고, 올해 중에는 인상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2027년 3월까지의 금리 인상 횟수도 2회에서 1회로 줄였다.
![]() |
도쿄 일본은행(BOJ) 본관 건물 [사진=로이터 뉴스핌] |
◆ '트럼프 관세'로 日경제 하방 압력 가중
일본 국내 데이터로만 보면 금리 인상을 뒷받침하는 재료가 많다. BOJ가 11일 발표한 3월 '생활의식 조사'에서는 향후 5년간 물가가 현재와 비교해 매년 얼마나 변화할지를 묻는 질문에 대한 평균 응답이 +9.6%로 2024년 12월 조사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한 4월 'QUICK 단칸 조사'에서는 2년 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이 2.5%로 조사 시작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데이터는 BOJ가 내세우는 "2% 물가 안정 목표" 실현에 착실히 나아가고 있다는 근거가 되며, 금리 인상에 긍정적인 재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상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꺾인 이유는 트럼프 관세가 일본의 경기 전망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일본경제연구센터가 집계한 민간 이코노미스트들의 4월 경제 예측 조사에서 2025년도 실질 경제성장률 예상치는 0.92%로 나타났다. 개인소비의 부진 등을 배경으로 3개월 연속 하향 조정됐으며, 경기 침체 위험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미국의 관세 정책이 일본 경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경우, BOJ로서도 정책적인 대응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 |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 [사진=로이터 뉴스핌] |
◆ BOJ의 딜레마는 이제 시작
하지만 BOJ는 여전히 금리 인상 스탠스를 유지하고 있다.
우에다 가즈오 총재는 18일 중의원 재정금융위원회에서 "경제와 물가 전망 실현을 예단을 갖지 않고 점검해 나가겠다"면서도 "전망이 실현된다면 그에 맞춰 금리를 인상하고 금융완화 정도를 조정해 나가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우에다 총재는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해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지만, 아직까지 금리 인상 보류를 시사하는 직접적인 표현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
BOJ가 금리 인상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엔저 시정을 요구하고 있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염두에 둔 조치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시장에 금리 인상 보류에 대한 신호를 주게 될 경우, 엔화 약세에 불만을 갖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을 자극할 수 있다. 엔저 시정을 포함한 환율 문제는 미일 관세 협상에서 주요 논의 대상의 하나이다.
그렇다고 금리 인상만 밀어붙일 경우 일본 경기의 침체 압력이 가중될 수 있다. BOJ의 딜레마는 이제 시작된 셈이다.
BNP파리바증권의 가와노 류타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금리 인상 기대가 둔화되고 있는 것은 트럼프 관세의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BOJ가 처한 미묘한 입장을 시장이 간파하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