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유류세 인하조치 변수는 '고환율'…정부, 2개월 연장 가능성

컨텐츠 정보

본문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최근 국제유가가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고환율로 인한 유류비 부담이 커지면서 정부가 유류세 인하 조치를 2개월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17일 정부에 따르면 3월 두바이유는 배럴당 평균 72.49달러로 2월(77.92달러)보다 7.0% 하락했다. 1년 전보다 13.9% 떨어졌다. 14일 기준으로 국제유가는 전월 평균보다 5.4% 하락했다.

다만 국제유가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고환율은 지속되고 있다. 원/달러 평균환율은 2월 1445.56원에서 3월 1456.95원으로 0.8% 상승했다. 14일 기준으로 환율은 0.4% 오르면서 수입 물가 하방 압력이 높아졌다.

고환율에 소비자의 유류비 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정부는 이달 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인하조치의 2개월 연장 방안에 무게를 싣고 있다.

4ab11cbbed03ae09e81127b02f02cc2f-1.jpg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설 연휴를 앞두고 국내 유가가 치솟으면서 전국 주유소 휘발유 가격이 15주째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20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서 시민이 주유를 하고 있다. 이날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L당 1722.73원이고, 지역별로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은 평균 1798.29원이다. 경유 판매 가격은 1579.58원을 기록했다. 2025.01.20 [email protected]

유류세는 에너지 소비량 제한을 위해 휘발유, 경유에 부과하는 교통·에너지·환경세와 LPG 부탄에 부과하는 개별소비세 등이다. 정부는 물가 안정과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는 수단으로 그동안 유류세 인하를 활용해 왔다.

현재 정부는 휘발유 15%, 경유 23%, 액화석유가스(LPG) 부탄 23%의 인하율을 적용하고 있다.

소비자는 휘발유와 경유에 각각 리터(ℓ)당 122원, 133원의 가격 인하 효과를 볼 수 있다. LPG 부탄은 리터당 47원이 경감된다. 

앞서 정부는 국제유가 급등이 시작된 지난 2021년 11월부터 휘발유·경유에 대한 탄력세율 인하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현재까지 총 14차례 연장했다.

정부는 현재 유류세 인하 조치 2개월 연장을 검토하면서도 부분 환원 조치를 시행할지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