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코인 시황] 비트코인 11만4000달러서 숨고르기… 미·중 회담·FOMC 앞두고 '업토버' 시험대

컨텐츠 정보

본문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이번 주 사이클 고점 부근에서 횡보세를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30일(현지시각) 부산에서 열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회담, 28~29일 예정된 10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금리 인하와 미·중 무역 합의 가능성을 주시하며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시간 오후 8시 15분 기준 비트코인(BTC)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0.7% 내린 11만4595달러선에서 거래됐고, 이더리움(ETH)은 4126달러로 0.9% 하락하고 있다.

BNB는 1136달러로 3.6%, 도지(DOGE)는 0.2달러로 1.3% 내리는 반면, 솔라나(SOL)는 200달러로 0.15%, XRP는 2.6달러로 0.88% 오르는 등 주요 알트코인은 엇갈린 흐름이다.

81bcc6174b627e13c7ac10e77f54bc9f-1.jpg
비트코인 가격 차트, 자료=야후 파이낸스, [email protected]

"미·중 관세 합의 가능성 92%"… 위험자산 선호 회복

세계 최대 베팅 플랫폼인 폴리마켓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11월 10일까지 미·중이 관세 협정을 체결할 확률을 92%로 보고 있다.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고위급 실무협상이 "건설적"이었다는 평가 이후, 두 정상은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합의문에 서명할 가능성이 커졌다. 이 기대감이 글로벌 시장의 위험자산 선호를 되살렸다.

비트코인은 주말 사이 10만4800달러에서 11만6200달러까지 급등한 뒤, 현재 11만4000달러 부근에서 숨 고르기 중이며,이더리움(ETH)은 4120달러선에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Fx프로의 알렉스 쿠프치케비치 수석 애널리스트는 "비트코인이 200일 이동평균선을 지지선으로 삼고 11만6000달러를 돌파하면 신고점 경신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 "희토류 해제 가능성 36%"… 시장, 완전한 화해는 회의적

폴리마켓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미·중 관세 협정 가능성은 높게 보고 있는 반면,중국이 연말까지 희토류 수출금지를 해제할 확률은 불과 36%로 보고 있다. 이는 시장이 관세 협상에서는 단기적 협력을 기대하면서도, 전략자원 경쟁은 장기전이 될 것으로 보고 있음을 의미한다.

싱가포르 QCP캐피털은 보고서에서 "트럼프–시진핑 회담 결과가 이번 주 연준 금리 결정보다 단기적으로 암호화폐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양국의 전술적 협력이 이뤄져도 구조적 관계 개선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QCP는 또 "연준이 3년간 이어온 양적 긴축(QT)을 조만간 종료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유동성 회복 기대가 커지고 있다"며"유동성 전환 신호가 조기에 나온다면 위험자산 전반이 재평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업토버 랠리 유지하려면 11만6000달러 회복해야"

비트코인은 7년 연속 10월 상승세를 기록한 이른바 '업토버' 전통을 지켜왔으나, 이번 달 들어 상승폭이 제한되면서 월말 11만6000달러 회복 여부가 중요 변수로 떠올랐다.

QCP는 "BTC가 월말까지 11만6000달러를 돌파하지 못하면 완전한 상승 전환은 어렵다"며 "정치·정책·유동성이 맞물린 이번 주는 변동성이 극대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연준 금리 인하 임박… 빅테크 실적도 초점

연준은 이날부터 양일간 열리는 10월 FOMC 회의에서 0.25%포인트 인하(4.00~4.25%) 가능성이 유력하다.

비트겟 리서치의 라시 장 애널리스트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데이터 기반 접근을 강조하면서도 완화적 유동성 공급을 시사할 것"이라며 "이는 국채 수요를 안정시키고 주식·암호화폐 시장 심리를 끌어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미 연방정부 셧다운이 26일째 지속되면서, 연준의 경기 판단이 일부 왜곡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파월 의장은 "공공 통계 공백을 보완하기 위해 민간 고용지표(ADP 등)를 참고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이번 주 예정된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메타, 구글 등 빅테크 3분기 실적 발표도 투자자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