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뉴욕증시 프리뷰, 트럼프 관세·연준 유화 발언에 일제 상승...테슬라·엔비디아·보잉·인텔↑

컨텐츠 정보

본문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23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 개장 전 미 주가지수 선물 가격이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해임 가능성을 철회하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낮출 가능성을 시사하자 불확실성에 억눌려있던 투자 심리가 살아났다.

미국 동부 시간 기준으로 이날 오전 8시 35분 기준 시카고 상품거래소(CME)에서 E-미니 다우 선물은 전날보다 656.00포인트(1.67%) 상승한 4만32.00을 가리켰다. E-미니 S&P500 선물은 전날보다 123.00포인트(2.31%) 전진한 5,437.75에 거래되고 있으며, E-미니 나스닥100 선물도 504.00포인트(2.74%) 오른 1만8,889.00을 나타냈다.

2c5f7826c75201ba6e2c7200d9da5717-1.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4.18 [email protected]

전날 밤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을 해임할 의도가 없다"고 밝혔으며, 이는 그간 연준을 향한 비판 수위를 높여온 기조에서 방향을 튼 것으로 해석된다. 불과 이틀 전만 해도 파월을 "최악의 패자"라 지칭하며 금리 인하를 압박했고, 지난주에는 "파월 해임이 하루라도 빨리 이뤄져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산 제품에 대한 145%의 관세는 너무 높다"며 "(협상 후에는 관세율이) 그 정도로 높지는 않을 것이며, 매우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AJ 벨의 투자이사인 러스 몰드는 "트럼프의 발언은 시장에 혼란이 정점을 찍고 이제 안정 국면으로 접어들 수 있다는 기대를 심어줬다"며 "누군가 트럼프에게 이제 책임 있는 발언을 할 때라고 조언한 것 같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유화적 발언에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애플과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개장 전 시간외 거래에서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테슬라 주가도 전날 기대 이하의 분기 실적 발표에도 불구하고 7% 뛰었는데, 이는 관세 부담 완화 기대에 더해 일론 머스크 CEO가 "다음 달부터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효율부(DOGE) 활동을 대폭 줄이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전날 뉴욕증시는 무역 갈등 완화 등의 기대에 다우지수가 1,000포인트 넘게 급등하는 등 4거래일 연속 하락세에서 반등에 성공했다. S&P500과 나스닥 지수도 각각 2% 넘게 올랐다.

다만 주식시장이 반등세를 보이는 가운데에서도, 최근 몇 주간 불안 심리를 반영한 자금은 안전자산으로 몰리고 있다. 금 선물 가격은 4월 들어 8% 넘게 급등했으며, 전날에는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3500달러선을 넘어서기도 했다. 

해리스 파이낸셜 그룹의 제이미 콕스는 "현재 상당한 양의 자금이 금에 숨어 있다"며 "이 비생산적인 자금이 언젠가는 주식시장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돈은 충분히 있다. 다만 지금은 노랗게 변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2c5f7826c75201ba6e2c7200d9da5717-2.jpg
테슬라 매장 [사진=블룸버그통신]

투자자들은 이번 주 예정된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도 주목하고 있다. 이번 주에는 S&P500 기업 중 100개 이상의 기업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전날 테슬라가 실적을 내놓은 데 이어 24일 장 마감 후에는 구글 모회사 알파벳이 실적을 공개한다.

개장 전 특징주로는 미국 항공기 제조사 ▲보잉(종목명:BA)이 기대 이상의 분기 실적 발표에 주가가 5% 가까이 상승했고, 의료기 개발 기업 ▲보스턴 사이언티픽(BSX)은 매출과 이익이 모두 시장 전망을 상회하며 8% 넘게 급등하고 있다. ▲인텔(INTC)은 20% 이상 인력 감축 보도 이후 주가가 5% 넘게 상승 중이다.

유럽연합(EU)의 과징금 부과 소식에도 불구하고 ▲애플(AAPL)과 ▲메타(META)도 개장 전 주가가 3~6% 상승하고 있다.

위험 선호 심리가 강화하며 비트코인 가격도 9만3000달러를 돌파했다. 24시간 전에 비해 5.3% 오른 수준이다.

이 외에도 이날 투자자들은 미국의 경제 상황에 대한 단서가 될 S&P 글로벌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와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와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등 연준 인사들의 발언을 기다리고 있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