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시황/뉴스

[GAM]GILD 트럼프 의약품 관세 협박에 웃는다 ② 성장 동력은

컨텐츠 정보

본문

이 기사는 4월 30일 오후 2시5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월가가 길리어드 사이언스(GILD)를 추천하는 데는 트럼프 행정부의 의약품 관세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만은 아니다. 업체의 성장성과 펀더멘털, 여기에 밸류에이션까지 매수 신호를 보낸다는 평가다.

2025년 1분기 업체의 수익성은 크게 개선됐다. 매출액이 66억7000만달러로 전년 동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조정 순이익이 23억달러, 주당 1.81달러로 전년 동기 16억달러 적자에서 강력한 턴어라운드를 이뤄낸 것.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에 비해 늘어나지 않은 데 대해 업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치료제 베클루리(Veklury)와 항암제 판매가 줄어든 데 따른 결과라고 설명한다. 같은 기간 간 질환과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관련 의약품 판매가 호조를 이루면서 전체 매출액이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했다는 얘기다.

2025년 1분기 순이익이 큰 폭의 흑자 전환을 이룬 데 대해 업체는 1년 전 간 질환 치료제 개발 업체 사이마베이 테라퓨틱스(CymaBay Therapeutics) 인수 과정에 적자가 발생했다가 손익 구조가 정상화된 결과라고 전했다. 1분기 주당순이익은 월가의 전망치인 1.77달러를 웃돌았다.

1987년 설립한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HIV와 B형 및 C형 간염, 독감, 코로나19 등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품을 개발, 공급한다. 항진균 주사제 암비솜(Ambisome)과 HIV 복합제 아트리플라(Atripla) 및 콤플레라(Complera), 항레트로바이러스제 빅타비(Biktarvy), 코로나19 치료제 베클루리(Veklury) 등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업체는 35개 국가에 진출했다.

HIV 치료제 빅타비의 매출액이 1분기 31억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에 비해 7% 성장을 이뤘다. 시장 조사 업체 팩트셋이 집계한 월가의 전망치 32억달러에 부합하는 결과다. 반면 코로나19 치료제 베클루리의 경우 같은 기간 매출액이 45% 급감하며 3억200만달러에 그쳤다. 시장 전망치인 3억8800만달러에 크게 미달하는 수치다.

8fe492efae2a19f47e8518390c3102ad-1.jpg
길리어드의 간질환 치료제 [사진=블룸버그]

시장 전문가들은 임상 실험을 진행중인 신약 개발 프로젝트가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중장기 이익 성장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4월21일 공개된 항암제 트로델비(Trodelvy)의 임상 3상 실험 결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머크가 공급하는 면역 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와 함께 투여할 때 유방암 환자의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된 것.

리링크 파트너스는 보고서를 내고 "트로델비의 임상 실험 결과는 향후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비약적인 이익 성장 가능성을 예고한다"고 전했다.

8fe492efae2a19f47e8518390c3102ad-2.jpg
길리어드 사이언스 주가 추이 [자료=블룸버그]

2024년 말 임상 3상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친 HIV 치료제 레나카파비르(Lenacapavir)에 대한 업계의 기대도 크다. 에이즈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개발된 약품은 1년에 두 차례 6개월 간격으로 접종할 때 HIV 감염 위험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미 식품의약청(FDA)은 오는 6월 중순 이미 HIV 치료제로 출시된 레나카파비르의 HIV 예방 의약품으로 승인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팩트셋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는 2030년 레나카파비르의 매출액이 4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업체는 2025년 매출액 전망치를 282억~286억달러로 제시했고, 조정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를 7.70~8.10달러로 내놓았다.

시장 조사 업체 팁 랭크스에 따르면 길리어드 사이언스에 투자 의견을 제시하는 25개 투자은행(IB)이 제시한 12개월 목표주가 평균치가 116.05달러로 파악됐다. 최근 종가 대비 11.36% 상승 가능성을 제시한 수치다.

25개 투자은행(IB)들이 '매수' 의견과 '보유' 의견을 각각 18건과 7건 내놓은 가운데 목표주가 최고치는 140달러로 나타났다. 최저치는 92달러로 파악됐고, '매도' 투자 의견은 없는 상태다.

업계에 따르면 12개월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한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주가수익률(PER)은 14배 내외를 나타내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업체의 주가가 상대적으로 저평가 됐다는 데 한 목소리를 낸다.

탄탄한 신약 파이프라인과 향후 실적에 대한 낙관,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의약품 관세 충격에 유리한 입지까지 감안하면 연초 이후 두 자릿수의 상승 랠리를 보인 업체의 주가가 추가 상승할 여지가 높다는 판단이다.

경계감도 없지 않다. 의약품 관세 이외에도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헬스케어 섹터 관련 정책 방향이 길리어드 사이언스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캔터 피츠제럴드는 보고서를 내고 메디케이드 예산 감축이 실제로 강행되면 단기적으로 업체의 주가에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캔터 피츠제럴드는 이번 보고서에서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목표주가를 125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비중 확대' 투자 의견을 유지했다.

업체의 매출총이익률이 최근 분기 78.3%까지 상승한 가운데 앞으로 수 년간 이익률 상승이 지속될 것이라고 캔터 피츠제럴드는 예상한다. 차세대 HIV 치료제가 2025년 중 출시되면서 2030년대 중반까지 업체의 매출 증가를 주도할 것이라는 기대다.

일부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HIV 관련 예산 축소 움직임을 길리어드의 잠재적인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한다. HIV 치료제가 업체의 주요 성장 동력에 해당하는 만큼 우호적이지 않은 정책이 투자 심리를 냉각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씨티그룹은 보고서를 내고 "업체의 블록버스터 HIV 치료제 빅타비가 2028년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일환으로 가격 조정 대상 의약품에 선정되더라도 놀랍지 않을 것"이라며 "메디케이드 예산 감축을 둘러싼 부정적인 전망과 맞물려 상당한 악재"라고 전했다.

굵직한 악재를 지적하면서도 씨티그룹은 길리어드 사이언스에 '매수' 투자 의견과 목표주가 125달러를 유지했다.

정부가 HIV 예산 감축을 강행하더라도 레나카파비르가 HIV 예방 의약품으로 승인 받을 경우 충격을 상당 부분 상쇄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씨티그룹은 "HIV 관련 약품 포트폴리오가 길리어드 사이언스에 보석과 같은 존재"라며 "업체가 해당 시장에서 중장기적으로 선두를 달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허 만료와 관련해서도 월가는 낙관론을 펼친다. 업체가 최근까지 수 십년에 걸쳐 특허 만료에 성공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고, 앞으로도 신약 파이프라인이 든든한 버팀목이 돼 줄 것이라는 기대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빅타비의 특허는 2033년 만료된다. 투자은행(IB) 업계는 경구용 HIV 신약이 2027~2029년 사이 본격 출시, 빅타비의 특허 만료에 따른 이익 감소보다 오히려 더 큰 이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