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기계 들여와야 하는데...테슬라·포드 등 '관세 면제' 촉구
컨텐츠 정보
- 186 조회
- 12 추천
- 목록
본문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 내 제조 설비 확충을 추진 중인 일부 기업들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중국산 기계장비에 대한 관세 면제를 요청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수개월간 포드 자동차, 히타치, 테슬라 등 자동차 기업을 포함해 180여 개 기업이 1100건 이상의 관세 면제 신청서를 당국에 제출했다.
이들 기업은 미국 내 생산이 어려운 설비 상당수가 중국산이고, 당장 대체가 불가능해 중국산 설비를 들여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한다.
![]() |
미국 미시간주 디어본에 있는 포드 자동차 공장. [사진=블룸버그] |
지난 3월 말 약 12건의 관세 면세 신청서를 낸 포드는 내년에 미시간 배터리 공장 가동을 하려면 특정 공정에 사용되는 중국산 설비가 필요하다며 이와 유사한 설비가 미국엔 없다고 강조했다.
같은 달 히타치는 미시간 공장에서 공기 압축기를 만드는 데 필요한 부품과 관련된 면세 신청서 141건을 제출했다. 회사 측은 "우리는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최종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라고 알렸다.
트럼프 행정부는 자국 내 제조업 활성화를 목표로 내걸고 있지만 현실에선 관세 정책이 되레 걸림돌이 되고 있단 지적이 나온다.
전미제조업협회(NAM)에 따르면 미국 수입품의 약 60%는 제조업에 쓰이는 중간재다. 이에 협회는 트럼프 행정부에 핵심 부품과 원자재를 관세 대상에서 제외해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실제로 미국 제조업계는 이미 관세와 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생산을 축소하고 있다. 공급관리자협회(ISM)가 발표한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8.7로, 5개월간 최저치를 기록했다. PMI는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미만이면 경기 위축을 나타낸다.
현재 미 무역대표부(USTR)는 업계의 관세 면제 요청을 검토하고 있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아직 이를 공식적으로 수용하겠단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제조업을 유치하면서 동시에 생산 설비에까지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한다.
싱가포르의 싱크탱크 힌리히 재단의 데보라 엘름스 무역정책 담당자는 "특히 미국 관세 정책의 명시된 목표 중 하나가 리쇼어링(reshoring)인데, 기업들이 그 목표를 달성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추가적인 관세 장애물을 두는 것은 의미가 없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전현직 당국자들 역시 제조업체에 대한 인센티브와 관세 면제 조치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분위기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미국 내에서 건물이나 설비를 구축할 경우 해당 비용 전액을 세액공제로 돌려주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엘름스 담당자는 미·중 간 무역 갈등이 쉽게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 "결국 제조 장비 수입에 대한 관세 면제는 불가피해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